글쓴이 보관물: admin

평가 관련 프롬프트 모음

평가 관련 프롬프트 모음

당신은 20년 경력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다음 사항을 반영하여 문항을 만들어 주되, 실생활과 연계해서 만들어 주세요. 모범 정답, 평가 기준, 성취 수준 등은 마지막에 모아서 한꺼번에 작성해 주세요.

  • 성취기준: [6영01-02]일상생활 속의 친숙한 주제에 관한 간단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 평가방법: 4지 선다형 10문항, 단답형 5문항, 서술형 2문항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방법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방법

  1. 구제적인 역할 제시하기
    예: 당신은 교육심리, 측정평가로 박사학위를 받은 경력 20년의 교수입니다.
  2. 예를 함께 제시하기
  3. 명확하고 구체적인 질문하기
    예: 커피나무 관리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 집에서 커피나무를 건강하게 키우는 물 주기 방법을 알려주세요.
  4. 질문의 목적, 상황, 대상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기
  5. 답변의 형식이나 수준을 지정하기
  6. 최신 정보가 필요한 경우, 시점이나 맥락 제시하기
    예: 2025년 기준

시각화

  • 표로 정리해 주세요
  • 그래프로 만들어 주세요
  • 파이차트로 만들어 주세요
  • 시간대별로 구분해 주세요

글쓰기 형식

  • Q&A 형식으로 해주세요
  • ~함으로 해주세요
  • 개조식으로 해주세요
  • 2가지를 비교해 주세요
  • 각 항목별로 예시를 추가해 주세요
  • 단계별로 구분해 설명해 주세요
  • 3가지로 구분해 설명해 주세요
  • 격식 있는 어투로 바꿔 주세요

난이도 조절

  • 초등학교 1학년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해 주세요
  • 더 길게 작성해 주세요
  • 100자 이내로 요약해 주세요

자료 조사

  • 출처가 명확한 도서, 논문, 기사를 작성해 주세요
  • 출처와 링크를 추가해 주세요
  • 검색 기반으로 답변해 주세요

리버

리버

오쿠다 히데오(2024). 리버 1, 2. 서울: 은행나무

일본 지방 도시의 강에서 벌어진 연쇄 살인 사건을 다루는 미스터리 범죄 수사극이다. 10년의 간격을 두고 벌어진 해결하지 못한 유사 범죄에 대해 형사의 관점, 기자의 관점, 피해자의 관점에서 파헤친 소설이다.
해리성 인격장애를 대하는 시노부라는 심리학자를 통해 공중그네의 이라부가 생각난다.

다음 소설이 기대된다.

하이퍼나이프

하이퍼나이프

디즈니플러스 8부작

모처럼 드라마를 봤다.
하이퍼나이프는 선과 악, 스승과 제자의 경계가 무너지는 극단적 인간 심리를 통해 윤리와 책임의 본질을 깊이 고민하게 만드는 메디컬 스릴러다.

선생의 입장에서 나도 이런 수직적 권위에서 대등한 대결 구도로 전환되는 제자가 생길까?

생물 가리비 맛있게 삶는 법

생물 가리비 맛있게 삶는 법

1. 가리비 손질 및 해감

  • 가리비는 뻘에서 자라지 않아 해감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이물질 제거를 위해 해감을 권장합니다.
  • 해감 방법: 깨끗한 물에 15~30분 정도 담가두거나, 소금물(물 1L에 소금 3스푼)로 30분 정도 해감합니다. 해감 후에는 깨끗한 물에 여러 번 헹궈주세요[1][5][8].
  • 껍데기는 솔이나 칫솔로 구석구석 문질러 깨끗하게 세척합니다[3][5].

2. 삶기(찌기) 준비

  • 냄비나 찜기에 물을 2~4cm 정도만 넣습니다. 가리비에서 육수가 나오기 때문에 물을 많이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4][5].
  • 비린내 제거와 감칠맛을 위해 맛술, 청주, 소주 등 요리주를 2~3큰술 정도 넣어줍니다[1][2][5][6].
  • 가리비는 껍질의 연결 부위(등 또는 배)가 아래로 가도록 올려주세요. 그래야 육수가 빠지지 않고 살이 질기지 않습니다[5][7].

3. 삶는(찌는) 시간과 불 조절

  • 물이 끓기 시작하면 가리비를 넣고 강불에서 5~10분 이내로 쪄줍니다. 1kg 기준 5~10분, 양이 적으면 5~6분이면 충분합니다[1][3][5][6].
  • 너무 오래 삶으면 살이 쪼그라들고 질겨지니, 입이 벌어지면 바로 불을 끄고 1~5분 정도 뜸을 들이면 탱글탱글한 식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5][6][7].

4. 완성 및 먹는 방법

  • 가리비가 입을 벌리면 다 익은 상태입니다. 껍질 안쪽에 검은 얼룩은 가리비의 보호막이니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1][6].
  • 삶은 가리비는 살만 발라내어 국물에 한 번 헹궈주면 더욱 깔끔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5].
  • 초장, 마늘, 청양고추, 참기름 등을 곁들여 먹으면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7].

요약 레시피

  1. 가리비 해감(소금물 30분) 및 껍질 세척
  2. 냄비에 물 2~4cm, 요리주 2~3큰술 넣기
  3. 가리비 껍질 연결 부위가 아래로 가게 올리기
  4. 강불에서 5~10분, 입 벌어지면 불 끄고 1~5분 뜸들이기
  5. 살만 발라내거나 껍질째 초장에 찍어 먹기

팁:

  • 너무 오래 삶지 마세요. 살이 질겨질 수 있습니다[3][6].
  • 가리비에서 나오는 육수는 칼국수, 찌개 등에 활용하면 감칠맛이 더해집니다[5][8].

이 방법대로 하면 생물 가리비의 달콤하고 쫄깃한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습니다!

[1] https://dalsoonlife.tistory.com/157
[2] https://www.10000recipe.com/recipe/6861739
[3] https://blog.naver.com/toast316/222192321433
[4] https://blog.naver.com/goodluck_sin/222596682568
[5] https://www.youtube.com/watch?v=9rtuqZHRbRA
[6] https://www.youtube.com/watch?v=tqc8Mv2XH1Q
[7] https://www.youtube.com/watch?v=jyhCOfbQ5uU
[8] https://www.10000recipe.com/recipe/7017146
[9] https://cuisine.tistory.com/10
[10] https://www.tiktok.com/discover/%EA%B0%80%EB%A6%AC%EB%B9%84-%EC%82%B6%EB%8A%94%EB%B2%95

구글 AI PRO 15개월 무료 이용 방법

구글 AI PRO 15개월 무료 이용 방법

신청기간은 6월 30일까지

필요사항

  1. ac.kr 또는 edu 도메인의 학교 이메일
  2. 구글 계정(조직 계정은 안 됨)
  3. 구글 결제 프로필 생성(거주지를 미국으로 해야 함)
  4. vpn

절차

  1. 구글 계정 만들기
  2. 결제 수단 관리에서 거주지를 미국 주소로 등록해 결제 프로필을 생성
  3. vpn 설치하되, 크롬브라우저 시크릿 모드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설정
  4. vpn 미국으로 설정
  5. 크롬브라우저에서 다음 주소로 접속하기
    https://gemini.google/students/
  6. 새로운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대학 이메일 주소 입력하기
  7. 대학 이메일에서 인증번호 확인 후 인증하기
  8. 결제 방법 등록(카드 번호 입력 등)

치아재식술 직후 관리 방법

치아재식술 직후 관리 방법

  • 치아재식술 후 초기 관리는 시술 성공과 치유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치과 전문의들이 권고하는 주요 관리 지침입니다.

1. 출혈 및 부종 관리

  • 시술 직후 1-2시간 이상 거즈를 단단히 물고 계세요. 이때 나오는 침은 뱉지 말고 삼키는 것이 좋습니다.
  • 하루 이틀 내 소량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이때도 거즈로 지혈합니다.
  • 처음 1-2일(24-48시간) 동안은 냉찜질(10-15분 간격)을 하여 부종을 예방하세요. 부종이 생긴 후에는 멍이 들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2. 식사 및 음료

  • 시술 당일과 다음날은 미음, 죽 등 부드럽고 미지근하거나 약간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세요.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 빨대 사용 등 흡입 동작은 삼가세요. 구강 내 압력 변화로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최소 2~3주간은 재식 부위로 씹지 말고, 자극이 적은 쪽으로 식사하세요.

3. 구강 위생

  • 시술 당일에는 발치 부위를 피해서 부드럽게 칫솔질하세요.
  • 1~2일 후부터는 조심스럽게 전체적으로 칫솔질을 하되, 시술 부위는 음식물이 끼지 않을 정도로만 관리합니다. 3~4일 후부터는 가볍게 칫솔질이 가능합니다.
  • 치실,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 위생을 유지하세요.

4. 생활 습관

  • 최소 2주간 금연, 금주를 지켜야 합니다. 흡연과 음주는 감염 위험과 피의 응고를 방해합니다.
  • 시술 부위를 손이나 혀로 만지거나, 일부러 흔들거나 두드려보지 마세요.
  • 2~3일에서 일주일간은 과도한 운동, 뜨거운 목욕, 장거리 여행 등 무리한 활동을 삼가고 충분히 휴식하세요.

5. 약 복용 및 치과 방문

  • 처방받은 약(진통제, 항생제 등)은 지시에 따라 반드시 복용하세요.
  •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해 치아의 재생 상태와 고정 상태를 점검받으세요.

6. 기타 주의사항

  •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부종이 심해질 경우 즉시 치과에 연락하세요.
  • 완전한 회복까지는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치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요약:

치아재식술 직후에는 출혈·부종 관리, 부드러운 음식 섭취, 금연·금주, 구강 위생, 무리한 활동 자제, 정기적 치과 방문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과의사의 지침을 잘 따르는 것이 성공적인 치유의 핵심입니다.

교육자를 위한 인공지능 용어집

교육자를 위한 인공지능 용어집

작성자: Pati Ruiz & Judi FUsco
출처: CIRCLS
마지막 업데이트: 2024.3.31.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AI는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이다. AI 시스템은 하드웨어, 알고리즘, 데이터를 활용해 ‘지능(intelligence)’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패턴을 발견하거나 어떤 행동을 수행한다. AI는 포괄적인 개념이며, 이 분야에서는 더 구체적인 용어들도 사용된다. AI 시스템은 보통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개발된다.
    1) 사람이 규칙을 제공하는 규칙 기반 시스템
    2)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방식
    최근의 많은 AI 시스템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다(‘머신러닝’ 용어 정의 참고).

  • 알고리즘(Algorithm)
    알고리즘은 AI 시스템의 ‘두뇌(brains)’로, 시스템의 행동을 결정하는 규칙이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스스로 규칙을 발견할 수도 있고, 사람이 직접 정한 규칙(규칙 기반)일 수도 있다.

  •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AGI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으며, 인간처럼 학습하고 이해하며 어떤 문제든 해결할 수 있는 AI를 의미한다.

  • 좁은 인공지능(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 ANI)
    AI가 특정한 문제만 해결할 수 있는 경우를 뜻한다. 예: 스마트폰의 얼굴 인식 기능은 특정인의 사진을 찾아낼 수 있지만, 소리는 인식하지 못한다.

  • 생성형 AI(Generative AI, GenAI)
    머신러닝의 한 종류로, 텍스트, 이미지, 음악, 영상 등을 생성하거나 2D 입력으로부터 3D 모델을 만들어낸다. ChatGPT는 생성형 AI의 대표적인 예이다.

  • ChatGPT 모델(Chat-based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models)
    이 모델은 자연어처리에 적합한 신경망(Transformer) 기반으로 구성된다.
    1) 질문에 응답을 생성할 수 있으며(Generative),
    2) 웹상의 방대한 텍스트를 미리 학습했으며(Pre-trained),
    3) 문장을 독특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Transformer).
    a. 트랜스포머 모델(Transformer Models)
    생성형 AI에서 사용하는 언어 모델로, 신경망이며 딥러닝 모델의 일종이다. 입력과 출력의 중요한 부분을 판단하기 위해 ‘자기 주의 메커니즘(self-attention)’을 사용한다.
    b. 자기 주의 메커니즘(Self-attention Mechanism)
    시스템이 입력에서 중요한 부분에 집중하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인간이 주의를 집중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얻었다.
    c. 대규모 언어 모델(LLMs)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언어 모델로, OpenAI의 GPT, Meta의 LLaMA, xAI의 Grok, Google의 PaLM, Gemini 등이 있다. 단어들의 출현 확률을 학습해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이며, 방대한 텍스트로 사전 학습된 기반 모델이다. 일부는 저작자의 동의 없이 데이터를 포함하기도 한다.

  •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컴퓨터가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이해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물체, 장면, 동작 등을 인식하며 머신러닝을 활용한다.

  • 비판적 AI(Critical AI)
    AI를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며, 기존 구조나 역사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접근이다.

  • 데이터(Data)
    사람이나 사물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며 AI 기술에 사용된다.

  • 학습 데이터(Training Data)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로, 과거에 인간이 생성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에 편향이 포함될 경우, AI도 그 편향을 학습할 수 있다. 기계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s)
    다른 모델을 개발할 때 기반이 되는 방대한 데이터와 모델이다. 예: 생성형 AI는 LLM 기반 모델을 사용한다. 데이터의 출처에 따라 신뢰성과 편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인간 중심 관점(Human-centered Perspective)
    AI는 인간을 돕고 인간의 역량을 강화하는 도구로서 활용되어야 하며, 교육에서는 교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 지능 증강(Intelligence Augmentation: IA)
    AI를 통해 인간의 작업을 돕고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여 교사가 더 인간적인 활동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단, AI가 사람을 대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지능형 튜터 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학생에게 즉각적이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규칙 기반 AI 또는 머신러닝 기반으로 설계된다.
    1)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콘텐츠의 난이도, 순서, 속도 등이 조절되는 학습 방식이다.

  • 해석 가능한 머신러닝(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IML)
    결정 과정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자체를 포함하는 모델을 설계하는 접근이다. 사후 설명보다는 처음부터 이해 가능한 모델이 바람직하다.
    1) 블랙박스(Black Boxes)
    내부 작동 원리를 알 수 없는 시스템을 말한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종종 블랙박스처럼 작동하여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지 알기 어렵다.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
    AI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사람이 규칙을 정하지 않아도 알고리즘이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해 모델을 만든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편향을 학습할 수 있으며, 알고리즘이 어떤 결정을 어떻게 내렸는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1) 신경망(Neural Networks, NN)
    인간 뇌의 뉴런과 시냅스 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이다. 입력층 → 은닉층 → 출력층으로 구성되며, 각 노드 간 연결 강도를 조절하며 학습한다.
    Illustration of the topology of a generic Artificial Neural Network.
    2) 딥러닝(Deep Learning)
    신경망 중에서도 은닉층이 여러 개인 모델로, 복잡하고 미묘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많은 계산을 필요로 하며, 결정 과정을 사람이 해석하기 어렵다.

  •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언어의 구조, 문법, 의미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로, AI와 언어학, 컴퓨터 과학이 결합된 분야이다. 음성 텍스트 변환, 자동 문법 교정, 요약, 챗봇 등에 활용된다.

  • 로봇(Robots) 및 봇(Bots)
    로봇은 실제 물리적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이며, 봇은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둘 다 AI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AI가 포함된 것은 아니다.

  • 사용자 경험/UI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User Interface Design: UX/UI)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전반적인 경험을 설계하는 분야로, AI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 설명 가능한 머신러닝(Explainable Machine Learning : XML) 또는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 XAI)
    AI 알고리즘의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방법론이다. 블랙박스 모델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설명이 실제로 정확한지는 보장할 수 없어, 해석 가능한 모델이 더 권장된다.